명언시-名言詩

唐詩 試譯

o a s i s 2012. 8. 19. 10:13

                                 唐詩 試譯  

 

      외국시를 우리 글로 번역하는 것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번역문 역시 시이어야 하고 특히 漢文은 뜻글이어서 글자 수의 제한이 있는 絶句, 律詩 같은 형식의 漢文詩를 그런 형식의 우리말로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고 말할 수 있다.

      나는 심심풀이 삼아 唐詩 몇 首를 번역 해 보았다.

 

鄕愁   

 

春夜洛城聞笛 

      李白

誰家玉笛暗飛聲   

散入春風滿洛城   

此夜曲中聞折柳   

何人不起故園情 

 

락양성 피리소리

      이백

어느 집 옥피리 소리 은은히 날리고  

춘풍에 실려 락양성에 가득하네

이 밤 가락 소리에 절류곡* 들리니      *折柳曲  

그 누가 고향 생각 떠오르지 않으랴

............................................................. 

客中作  

      李白

蘭陵美酒郁金香 

玉琬盛來琥珀光 

但使主人能醉客 

不知何處是他鄕 

 

나그네  

      이백

란릉미주*는 튜립향이 풍기고           *蘭陵美酒

옥잔에 술을 채우니 호박*빛이 나네   *琥珀

주인이 주객*을 취하게 하니             *酒客 

어데가 타향인지 모르더라

............................................... 

靜夜思 

      李白

牀前明月光 

疑是地上霜 

擧頭望明月  

低頭思故鄕 

 

고요한 밤

      이백

침상*의 밝은 달빛을               *寢床

정원의 서리인가 하였노라

머리 들어 밝은 달 바라보고

머리 숙여 고향 그리워하노라

.......................................... 

故鄕 (原題:重題) (拔取)   

      白居易

心泰身寧是歸處

故鄕何獨在長安

 

고향

      백거이

마음과 몸이 편하면 내 살 곳이지

고향이 어찌 장안*뿐이랴              *長安-당나라 수도

............................................. 

憶兄弟 (原題:九月九日憶山東兄弟) (拔取)   

      王維

獨在異鄕爲異客

每逢佳節倍思親

 

형제를 그리며

      왕유

타향에 홀로 있는 나그네

명절마다 먼 형제 그립구나

.......................................... 

回鄕偶書

      賀知章 

少小離鄕老大回

鄕音無改毛催

兒童相見不相識

笑問客從何處來

 

귀향

      하지장

어려서 떠난 고향 늙어 돌아오니

향음*은 변함 없어도 빈발**은 희네      *鄕音 ** 

애들은 보아도 모르니

웃으며 뭇도다 어데서 오시는가 

.............................................. 

懷故國

      修睦

故國歸未得

此日意何傷

獨坐水邊草

水流春日長

 

고향생각

      수목

고향 갈 수 없으니

그 마음 얼마나 아프랴

개울 옆 풀밭에 홀로 앉아있으니

물은 흐르고 봄날은 길기도 하도다  

................................................... 

酒趣 詩  

 

山中與幽人對酌

      李白

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

我醉欲眠卿且去

明朝有意抱琴來  

 

대작*                                   *對酌

      이백

둘이 술 마시는데 산꽃이 피네

한 잔 한 잔 또 한 잔

난 취해 자려니 자넨 가시게

낼 아침 뜻 있으면 고금** 안고 오게나    **古琴

..................................................... 

月下獨酌(其一) (拔取)    

      李白

花間一壺酒  

獨酌無相親 

擧杯邀明月  

對影成三人 

我歌月徘徊  

我舞影零亂  

 

달밤   

      이백

꽃밭에 술 한 병

나 홀로 마시네

잔을 들어 달 불러

그림자와 함께 셋

내가 노래하면 달은 서성이고 

내가 춤추면 그림자는 흔들리네  

........................................... 

將進酒 (拔取)          

      李白

人生得意須盡歡   

莫使金樽空對月 

天生我材必有用 

千金散盡還復來 

會須一飮三百杯

將進酒, 杯莫停 

但願長醉不用醒

惟有飮者留其名

 

마시고 또 마시자  

      이백

인생의 뜻 이루었으니 마음껏 즐기세  

술 없는 금잔 달을 보고 들지 마라  

하늘이 나를 낳았으니 기필코 쓸모 있으리  

천금이 흩어져도 다시 오리라

잔을 들면 삼백 잔은 마셔야지  

마시자 놓지 마라 술잔을

원하노라 오래오래 취하여 깨지 않기를

마시는 자만이 그 이름 남기느니라

...................................................... 

酒詩 (原題:可惜) (拔取)   

      杜甫

寬心應是酒

興莫過詩

 

술과 시  

      두보

마음 달래는 데는 술이요

흥 풀이는 시 밖에 없도다

..................................... 

解愁 (原題:落日) (拔取

      杜甫

誰造汝

一酌散千愁

 

천수*                               *千愁  

      두보

탁주야 누가 너를 만들었느냐

너 한 잔으로 천수를 날려보내리

............................................... 

歌山 詩   

 

瀑布(其二)  

      李白

日照香爐生紫煙   

遙看瀑布挂長川  

飛流直下三千尺   

疑是銀河落九泉 

 

로산폭포 

      이백

향로봉에 햇빛 드니 보라색 안개 피어오르고 

멀리서 본 폭포는 기나긴 물길 같구나 

삼천 자나 날아 흘러 내리니 

구천*에 있는 은하인가 하였노라                 *九天-높은 하늘

.............................................. 

春曉

      孟浩然 

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

夜來風雨聲

花落知多少

 

      맹호연

봄날 잠 날 새는 줄 모르고

여기저기 새소리 들리네

어젯밤 비바람 소리에

떨어진 꽃잎 얼마이드냐  

..................................... 

楓橋夜泊

      張繼

月落烏啼霜萬天

江楓漁火對愁眠

姑蘇城外寒山寺

夜半鐘聲到客船

 

야박  

      장계

달은 지고 새*는 울고 만천하엔 서리로구나     *까마귀

강가엔 단풍나무 어민은 잠 못이뤄 불만 쬐네 

고소성* 밖 한산사**                                *姑蘇城  **寒山寺 

반야* 종소리 울릴 때 객선**이 오네              *半夜  **客船

.................................................... 

遺愛寺

      白居易

弄石臨溪坐

尋花寺行

時時聞鳥語

處處是泉聲

 

유애사

      백거이

개울 옆에 앉아 돌놀이 하고

꽃을 찾아 절을 돌아 걸으니

때때로 새소리 들리고

곳곳에 샘물소리 들리네